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면서 가장 먼저 바꾸기 쉬운 공간 중 하나는 바로 욕실이다. 욕실은 의외로 일회용 플라스틱이 집중된 장소인데, 샴푸나 린스, 칫솔, 면도기, 일회용 클렌징 제품 등 거의 모든 용품이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있다. 이 글에서는 욕실 속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첫 걸음으로, ‘고체 샴푸’와 ‘대나무 칫솔’을 실제로 사용해 본 후기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입문자도 부담 없이 도전할 수 있는 실천템으로, 개인의 피부와 환경 모두를 위한 선택이 될 것이다.
1. 고체 샴푸 사용 후기 – 플라스틱 없는 머릿결 관리
고체 샴푸는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액상 샴푸 대신 비누 형태로 제작된 샴푸바를 말한다. 외형은 단순한 비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사용해 보면 머리카락을 부드럽게 세정하며 두피에도 자극이 적다. 필자는 처음 사용할 때 거품이 잘 날까 걱정했지만, 손이나 모발에 문지르면 충분한 거품이 생기고 세정력도 뛰어났다. 고체 샴푸의 가장 큰 장점은 용기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 종이 포장으로 되어 있어 사용 후에는 포장도 바로 분해되어 쓰레기가 거의 남지 않는다. 특히 여행이나 캠핑 시 휴대가 간편하다는 점도 매우 만족스러웠다.
2. 대나무 칫솔 체험기 – 플라스틱 칫솔의 훌륭한 대안
일반 플라스틱 칫솔은 평균적으로 3개월마다 교체하지만, 버려진 칫솔은 수백 년간 썩지 않고 환경을 오염시킨다. 이를 대체하는 제품이 바로 대나무 칫솔이다. 대나무 칫솔은 손잡이가 100% 자연분해 가능한 대나무로 만들어져 있으며, 사용 후에는 퇴비화가 가능하다. 필자는 대나무 칫솔을 2개월간 사용해보며 플라스틱 칫솔과 큰 차이 없이 그립감도 좋고 칫솔모의 탄력도 무난하다는 점을 느꼈다. 다만, 욕실이 습할 경우 손잡이 부분이 조금 변색될 수 있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3. 지속 가능한 욕실을 위한 작은 변화들
고체 샴푸와 대나무 칫솔 외에도 욕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제로웨이스트 제품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재사용 면 화장솜, 고체 클렌징 바, 천 재질의 샤워 타월 등도 일회용품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이런 제품들은 한 번 구입하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경제적이다. 특히 고체 제품들은 화학첨가물이 적은 경우가 많아 피부 트러블이 줄어드는 부가 효과도 있다. 욕실이라는 작은 공간이지만, 여기에 있는 용품을 하나씩 바꾸는 것만으로도 삶의 밀도가 바뀐다.
4. 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구매 팁
제로웨이스트를 위한 제품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포장이 최소화된 제품인지, 성분이 안전한지, 그리고 재사용 또는 분해 가능한 소재인지다. 특히 고체 샴푸와 대나무 칫솔은 인터넷에서 다양한 브랜드가 판매되고 있지만, 인증된 천연 재료 사용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한다. 또한 지역 제로웨이스트샵이나 로컬 마켓에서는 리필 서비스도 제공하므로, 불필요한 배송 포장까지 줄일 수 있다. 무조건 새롭고 고가의 제품을 구매하기보다는, 현재 가지고 있는 제품을 최대한 활용하고 교체가 필요한 시점에 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하는 방식이 가장 지속 가능하다.
▶ NEXT : “제로웨이스트 도시락 만들기: 포장 없이 도시락 싸기 꿀팁” 소개할게!
'제로웨이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웨이스트 욕실 만들기 (0) | 2025.04.11 |
---|---|
제로웨이스트 생리용품 (0) | 2025.04.10 |
친환경 세탁 실천법: 세제 없이 세탁하는 방법 (0) | 2025.04.10 |
제로웨이스트 시장보기 (0) | 2025.04.09 |
제로웨이스트 도시락 만들기 (0) | 2025.04.09 |
일회용품 대신 쓰는 친환경 대체품 BEST 10 (0) | 2025.04.08 |
제로웨이스트 입문자를 위한 실천 원칙 5가지 (0) | 2025.04.07 |
제로웨이스트란?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