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나 시장에서 물건을 살 때, 우리는 자기도 모르게 수많은 포장재와 비닐봉지를 받아온다. 과일, 채소, 반찬, 생필품 등 대부분이 이중, 삼중 포장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장을 본 후 집에 돌아오면 포장재 쓰레기만 한가득이다. 하지만 이 소비 방식에서 벗어나 포장 없는 장보기, 즉 ‘제로웨이스트 마켓 루틴’을 만들어 나가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일회용 포장을 줄이는 장보기 노하우, 준비물 리스트, 그리고 제로웨이스트 마켓을 활용하는 팁까지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1. 장보기 전 준비물부터 바꿔라 – 에코백 & 용기 세팅
포장 없는 시장보기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준비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선 에코백은 여러 개 챙기는 것이 좋다. 각각의 가방에 종류별로 담을 수 있도록, 채소 전용·건조식품 전용·용기 전용 가방을 나누는 것이 실용적이다. 그 외에도 밀폐 유리용기, 빈 병, 천 주머니, 그물망 장바구니 등도 함께 준비하면 대부분의 상품을 포장 없이 구입할 수 있다. 특히 반찬이나 고기류를 구매할 경우, 직원에게 “용기에 담아주세요”라고 요청하면 대부분 친절하게 응대해준다. 처음엔 다소 어색할 수 있지만, 장바구니 하나에도 철학이 담긴다.
2. 채소·과일은 벌크로, 포장된 제품은 피하기
대형 마트에서 판매되는 채소나 과일은 비닐과 스티로폼, 플라스틱 포장에 싸여 있는 경우가 많다. 반면, 재래시장이나 로컬 푸드 마켓에서는 낱개 또는 벌크 형태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 많다. 이런 곳에서 장을 보면 자연스럽게 포장재 사용을 줄일 수 있다. 무, 당근, 고구마, 감자 같은 뿌리채소류는 그물망 장바구니에 바로 담을 수 있고, 사과, 배 같은 과일류도 천 주머니를 활용해 구입 가능하다. 포장된 제품을 피해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쓰레기량이 크게 줄어든다. 중요한 것은 구매 습관 자체를 의식하는 것이다.
3. 반찬, 육류, 생선도 ‘내 용기’로 해결하기
제로웨이스트 시장보기의 핵심은 가공식품이나 조리식품 구매 시에도 일회용 포장을 피하는 것이다. 반찬가게나 생선가게, 정육점에서도 미리 준비해간 스테인리스 용기나 유리 밀폐용기에 담아달라고 요청하면 대부분 거절하지 않는다. 특히 단골이 되면 사장님들이 먼저 “오늘도 용기에 담아줄까?” 하고 물어보는 경우도 있다. 생선이나 고기를 구입할 때는 종이로 한 겹 감싼 후 용기에 담는 방식도 가능하며, 냄새나 액체가 새지 않도록 실리콘 뚜껑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이 과정에서 용기의 용량과 깊이를 잘 고려해 구매하는 것이 팁이다.
4. 포장 없이 살 수 있는 품목 리스트 & 시장별 특징
시장에서는 생각보다 포장 없이 구매할 수 있는 품목이 많다. 곡류(쌀, 콩, 보리), 말린 과일, 견과류, 조미료, 건어물 등은 벌크 판매가 많아 천 주머니나 유리병을 가져가면 그대로 담아준다. 또한 떡, 두부, 김치, 된장 같은 제품도 단골로 거래하는 가게를 정해 내 그릇에 담는 방식을 고수하면 쓰레기 없는 쇼핑이 가능하다. 요즘은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는 마켓이나 소셜 벤더도 생겨나고 있으므로, 온라인을 통해 미리 정보 수집을 해두는 것도 좋다. 지역에 따라 가능한 품목이 다르기 때문에, ‘내 동네 제로웨이스트 맵’을 만들어두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다.
한 번의 장보기에도 우리는 환경을 위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에코백, 유리 용기, 천 주머니만 챙겨도 쓰레기를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
▶ NEXT : 친환경 세탁 실천법: 세제 없이 세탁하는 방법” 으로 이어질게!
'제로웨이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환경 주방 살림: 설거지·조리도구·식기류 대체법 (0) | 2025.04.11 |
---|---|
제로웨이스트 욕실 만들기 (0) | 2025.04.11 |
제로웨이스트 생리용품 (0) | 2025.04.10 |
친환경 세탁 실천법: 세제 없이 세탁하는 방법 (0) | 2025.04.10 |
제로웨이스트 도시락 만들기 (0) | 2025.04.09 |
욕실에서 실천하는 제로웨이스트 (0) | 2025.04.08 |
일회용품 대신 쓰는 친환경 대체품 BEST 10 (0) | 2025.04.08 |
제로웨이스트 입문자를 위한 실천 원칙 5가지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