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로웨이스트

제로웨이스트 도시락 만들기

by blog2168 2025. 4. 9.

점심시간마다 흔히 접하는 일회용 도시락 용기와 포장재는 매우 편리하지만, 환경에는 큰 부담이 된다. 편의점 도시락, 배달 음식, 테이크아웃 식사는 대부분 플라스틱 용기, 비닐 랩, 일회용 나무젓가락 등 다량의 쓰레기를 동반한다. 매일 반복되는 이 습관이 1년, 10년이 쌓이면 수백 킬로그램의 쓰레기로 이어진다. 그래서 오늘은 제로웨이스트 도시락 만들기 꿀팁을 소개한다. 플라스틱 없이 건강하게 포장하는 도시락은 환경도 지키고, 식생활도 더 신선하게 만든다. 도시락 하나 바꾸는 것만으로도 지구를 위한 선택이 가능하다.

 

1. 도시락 용기 선택부터 다르다 – 스테인리스 or 유리

제로웨이스트 도시락을 실천하려면 먼저 용기부터 바꿔야 한다.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 대신, 스테인리스 도시락통이나 내열 유리 도시락통을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스테인리스는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냄새가 잘 배지 않아 세척이 쉽다. 유리 용기는 전자레인지 사용이 가능하고 음식의 상태를 그대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뚜껑이 실리콘 패킹 처리된 밀폐형 제품은 국물 음식도 걱정 없이 담을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다. 처음에는 조금 무겁게 느껴질 수 있지만, 오랫동안 반복 사용 가능한 점에서 훨씬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하다.

2. 포장 없이 싸는 법 – 랩 대신 밀랍 랩과 천 주머니 

음식을 싸기 위해 흔히 사용하는 비닐 랩과 일회용 지퍼백은 제로웨이스트 실천에 가장 큰 장애물이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아이템은 밀랍 랩과 천으로 만든 주머니이다. 밀랍 랩은 야채나 샌드위치, 과일 등을 포장하기에 적합하며, 손의 온도로 쉽게 밀착되므로 따로 묶을 필요가 없다. 또한 면 주머니는 김밥, 빵, 떡 등을 포장하기에 좋으며, 사용 후에는 세탁해서 재사용할 수 있다. 처음에는 불편할 수 있지만, 몇 번 사용하다 보면 훨씬 더 깔끔하고 편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무엇보다 식재료의 수분을 적당히 유지해주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다.

3. 일회용 젓가락 말고 휴대용 식기 세트 

음식을 싸는 것만큼 중요한 게 먹는 도구의 선택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회용 나무젓가락이나 포크를 함께 들고 다니지만, 이는 사용 후 대부분 폐기되며 자연분해도 어렵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휴대용 식기 세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대나무 수저, 스테인리스 포크와 나이프, 실리콘 젓가락 등이 세트로 들어있는 제품은 가볍고 세척이 간편하다. 또한 휴대용 파우치에 넣어 다닐 수 있어 위생적으로도 안전하다. 요즘은 케이스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식기 세트도 많아 직장이나 학교에서 매우 유용하다. 제로웨이스트 도시락은 식기까지 포함되어야 완성된다.

제로웨이스트 도시락 만들기

4. 음식 선택의 기준도 바뀐다 – 포장 안 해도 괜찮은 메뉴 만들기 

도시락을 준비할 때 자주 고민하게 되는 것이 음식의 종류다. 국물이 많거나 흐르는 음식은 포장이 까다롭고, 샐러드나 볶음밥처럼 포장 없이도 깔끔하게 담기는 메뉴가 훨씬 제로웨이스트에 적합하다. 김밥, 주먹밥, 오트밀, 샌드위치, 볶음 야채류는 밀폐 용기 안에 잘 들어가며 이동 시에도 흐르지 않는다. 특히 계절 채소를 활용한 도시락은 탄소발자국을 줄이면서 신선도도 높일 수 있다. 음식 선택 하나에도 제로웨이스트의 철학을 담을 수 있다. 한 끼의 도시락이 곧 나와 지구 모두를 위한 식사가 된다.

 

제로웨이스트 도시락 만들기는 생각보다 간단하다. 용기, 포장, 식기, 메뉴 선택까지 단 몇 가지 변화만으로도 일회용 쓰레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오늘부터 나만의 친환경 도시락 루틴을 만들어보자.

 


▶ NEXT :  “제로웨이스트 시장보기: 포장 없는 장보기 노하우” 편으로 이어질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