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이나 공부방에 앉아 책상 위를 둘러보면 알 수 있다. 플라스틱 펜, 일회용 포스트잇, 종이 가득 찬 노트와 파일들이 얼마나 쉽게 쓰이고 버려지는지.
우리가 매일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는 사무용품은 사실 환경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며, 불필요한 낭비의 온상일 수 있다.
오늘은 쓰고 버리는 도구 대신, 오래 쓸 수 있고 다시 쓸 수 있는 재사용 사무용품으로 바꾸는 방법을 소개한다.
하루 8시간 이상을 보내는 책상 위가 제로웨이스트 존이 된다면, 일상 전체가 조금씩 바뀌기 시작한다.
1. 펜과 필기구부터 바꾸기 – 리필형, 대나무 소재, 디지털 펜까지
우리가 가장 자주 버리는 사무용품 중 하나는 볼펜이다.
플라스틱으로 된 일회용 펜은 다 쓰고 나면 대부분 재활용되지 않고 일반 쓰레기로 버려진다.
대안으로는 잉크 리필이 가능한 펜을 사용하는 것이다. 리필심 하나만 교체하면 수십 번 다시 쓸 수 있어 경제적이고, 쓰레기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대나무나 친환경 소재로 제작된 펜도 좋은 선택이다. 일부 브랜드에서는 폐목재나 커피 찌꺼기를 활용해 만든 펜도 출시되고 있다.
더 나아가 아이패드나 태블릿 + 디지털 펜슬 조합을 활용하면 필기도 전자화할 수 있어, 종이와 펜의 사용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
2. 노트 대신 무한 노트 & 디지털 메모 활용하기
노트나 수첩도 금방 채워지고 쉽게 버려지는 문구류 중 하나다.
최근엔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무한 노트가 인기다. 특정 펜으로만 쓸 수 있는 이 노트는, 마른 천이나 물티슈로 닦으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로켓북(Rocketbook), 프리노트, 리유저블 노트 등이 있다. 이 제품들은 스마트폰 앱과 연동해 필기 내용을 저장하고 디지털화할 수 있어 업무 효율까지 높인다.
또한 구글 킵, 노션, 에버노트 등 디지털 메모 앱을 병행해 사용하면, 회의록이나 아이디어 스케치도 종이 없이 해결 가능하다.
노트를 디지털화하면 보관 공간도 줄고, 잊었던 메모도 쉽게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종이 파일과 바인더, 클리어파일 줄이는 법
서류 정리를 위해 사용하는 바인더, 클리어파일, 종이홀더도 대부분 플라스틱 제품이거나 일회용에 가까운 구성이다.
이런 제품 대신 재생 종이로 만든 서류철이나, 천 또는 펠트 소재의 문서 보관 폴더를 활용하면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자주 쓰는 문서는 클라우드에 정리하고, 실물 보관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라벨링을 통해 재사용 가능한 폴더에 담아 관리하자.
바인더 클립도 금속 재질로 제작된 제품을 선택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회사에서 문서 보관 정책을 바꿀 수 있다면, 전자결재 시스템을 강화해 인쇄 자체를 줄이는 것도 좋은 실천법이다.
4. 사무환경 전체를 제로웨이스트로 바꾸는 루틴
사무실에서의 제로웨이스트는 단순히 문구류 교체에 그치지 않는다.
업무 중 나오는 프린트 출력물, 커피 캡슐, 종이컵, 회의 자료 등도 모두 점검 대상이다.
커피는 텀블러나 리유저블 컵을 사용하고, 회의 자료는 프로젝터나 전자 문서로 대체하는 습관을 들이자.
또한 회사에서 사용하는 택배 포장, 명함, 홍보물 등도 디지털화하거나 재생 소재로 대체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
개인의 책상에서 시작한 제로웨이스트 습관이 팀 단위, 회사 전체의 문화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자.
사무실도 충분히 '환경을 위한 공간'이 될 수 있다.
매일 손에 쥐는 펜 하나, 노트 한 권, 서류철 하나부터 바꾸면
나의 업무 공간은 제로웨이스트 존으로 진화할 수 있다.
작은 변화가 쌓이면, 일도 환경도 훨씬 가벼워질 거야.
▶ NEXT : 리필 스테이션 100% 활용법: 샴푸·세제·식재료 리필하는 법으로 이어갈게!
'제로웨이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웨이스트 여행 (0) | 2025.04.17 |
---|---|
외출할 때 제로웨이스트 키트 구성하는 법 (1) | 2025.04.17 |
포장 없는 선물 문화 (0) | 2025.04.16 |
리필 스테이션 100% 활용법 (0) | 2025.04.16 |
종이 없는 삶 (1) | 2025.04.15 |
플라스틱 프리 냉장고 정리법 (0) | 2025.04.14 |
제로웨이스트 장보기 (0) | 2025.04.14 |
친환경 주방 살림: 설거지·조리도구·식기류 대체법 (0) | 2025.04.11 |